존재의 상실과 이미지의 공간

이두희

장보윤 작가는 사진 이미지들을 대상으로 작업을 해왔다.
2009년 개인전 <기억의 서: K의 슬라이드>는 1960년대 일본을 배경으로 촬영된 어느 남자의 슬라이드 필름들을 우연히 발견한 것으로 시작하여, 허구의 인물 K를 상정하고 그의 여행기를 작가 본인이 다시 체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작업이었다. 한편, 2012년의 작업 <천년고도>에서는 한때 신혼여행과 수학여행의 명소였던 경주라는 장소를 중심에 두고, 가상의 일기장 작업을 통해 한 어머니에서 딸에게 이어지는 가족사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이를 30여 년간 지역에서 실제로 관광택시 운전을 해온 기사와의 인터뷰나, 철지난 유행가를 일부러 진부하거나 상투적인 영상들로 편집하여 만든 뮤직비디오와 전시 공간 안에 실험적으로 병치해 두었다.

작가로 하여금 이와 같은 작업들을 시작하게 만든 것은 일련의 사진 이미지들이었다. 한때 누군가에게 속하였지만 지금은 어떤 사정으로 버려진 채 주인을 잃은 그 이미지들에 작가는 새롭게 기억과 이야기를 부여함으로써 그것을 되살리고 다시 나타나게 하려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 과정이 작가로 하여금 이미지의 어떤 본질에 이르게끔 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이미지란 존재의 부재를 바라보게 하는 것이며, 동시에 그 부재의 대체물을 재현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상실된 대상의 시각적 재현에 대한 연구는 작가의 학위 논문 주제이기도 하다.)

작가와 작업의 대상으로서 이미지의 관계를 보다 여실히 보여주는 과정이 바로 2011년부터 시작한 <우리가 기억하고 싶은 것들>과 <밤에 익숙해지며> 연작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작들은 작가가 뉴욕 레지던시 기간 중에 한 방문객으로부터 우연히 전달받은 리사라는 인물의 사적인 기록들로부터 비롯한다. 그것들에는 리사의 어머니가 기록한 육아일기와 리사 본인의 청소년 시절의 스크랩북 등의 자료가 포함된다. 전자의 작업에서 작가는 육아일기의 어느 구절을 벽에 반복하여 쓰면서 상실한 이미지를 언어라는 매체로 바꾸어 불러보기도 한다. 결국 작가는 다음 <밤에 익숙해지며> 작업을 위해 뉴욕 주의 작은 도시 포킵시를 직접 방문하게 이른다. 이 여행 중에 작가는 리사의 시간에 가까이 다가가고자 할수록 낯선 고장에서 타인이 될 수밖에 없는 자신을 다시 경험을 하게 된다. 이 전시의 제목은 리사가 보관하고 있던 신문의 부고 기사에서 인용한 것인데, 이는 한편으로 결코 되찾을 수 없는 이미지 앞에서 그 상실에 익숙해져가는 작가 자신의 표현이라고 생각해도 좋을 것이다. (이러한 작가의 경험은 이후 <천년고도>의 작업으로 이어지며 보다 자유로운 이미지의 실험을 가능하게 해주었음이 틀림없다.)

그리고 이번 윈도우갤러리 전시에서 작가는 뉴욕 연작의 맥락으로 돌아와 다시 리사의 이미지들을 불러왔다. <너의 첫 번째 해>라는 제목처럼 세장의 사진 이미지는 주인공의 갓난아기 시절을 관객에게 소환해주는 듯하다. 하지만 정작 이 이미지들에 대한 설명이나 관계는 명확히 제시되지는 않고 심지어 그 출처조차도 분명하지 않다. 일반적인 기준에서 초점과 프레임조차 벗어난 사진을 대표로 하는 이 작업이 다루고 있는 것은 매체로서 이미지가 가지는 모호함 자체에 다름 아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특정한 의미로부터 멀어지는 그러한 모호함이 겹겹이 쌓여갈수록 이미지들은 우리 모두의 경험에 가까워지기도 한다. 결국 작가가 지키고자 하는 것은 잃어버린 무엇인가에 대한 공통된 경험에 있는 것이며, 그 보상물로서 주어지는 한정된 언어나 이미지 자체에만 매달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매체에 대한 회의적이면서도 진일보한 작가의 태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작업이 관객들로 하여금 어떤 심미적인 균형과 정서적인 안도감을 준다는 사실은 놀라운 점이다. 아마도 그렇게 작가는 보다 새로운 이미지의 공간으로 관객을 기꺼이 초대하고 있는 것이리라.

Walk-In Welco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Loss of Being and the Spaces of Images

Doohee Lee

Photo images have been the subject matter of artist Jang Bo-yun’s works for many years.
, her solo exhibition in 2009, started from the artist accidentally discovering one man’s slide film, which is set in Japan in the 1960s; For this project, she tried to experience the life of K, a fictional character based on the assumption of an artist, by copying and following the travel routes of K all by herself. In addition, for an artwork titled in 2012, artist Jang Bo-yun created the family history leading up to the mother to the daughter through her work of an imaginary diary, which centers on Gyeongju, a celebrated place once for the honeymoon and school excursions. The artist edited a music video in such a banal and conventional way by mixing an interview from a tourist taxi driver and a hit song of the past together. Then, she experimentally juxtaposed that music video in her exhibition place.

Series of photo images are the motivation for Jang Bo-yun. She tries to grant new memories and stories to the images of loosing master, which once belonged to someone but now abandoned under uncertain circumstances, therefore the images to be revived. It is not a coincidence for the artist to reach certain nature of the images. Images let audience to look at the absence of the presence and at the same time, to reproduce alternatives for the absences. (For reference, study on the visual reproduction of the lost target is the subject for the artist’s thesis theme.)

Series works started in 2011 titled and clearly show an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 and the image, which functions as the subject matter. These series came from the private records of a character name Lisa, whom a visitor incidentally passed onto the artist while she was in New York residency program. Records include the nursing diary of Lisa’s mother as well as the scrapbook of Lisa’s adolescence. Artist repeatedly writes a part from the nursing diary; writing changes into a verbal language and the process replaces the lost image. Ultimately, Jang Bo-yun visits Poughkeepsie, a small town in New York to work on her art piece . During this trip to Poughkeepsie, she experiences herself being a stranger in an unfamiliar place when she tries as hard as she can to reach the time of Lisa.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quoted one newspaper obituary that Lisa kept; this is, on the other hand, a way of expressing artist herself familiarizing to the loss of the images that cannot be recovered.

For the recent exhibition at window gallery, artist returned to the same vein of series works in New York and brought Lisa’s images back again. Like the title implies, three photos recall character’s youth to the public. However, explanations on the imag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re both vague. Even the provenance is not accurate. Representative photos that are out of focus and frame deal with obscurity of an image that functions as a medium. Nonetheless, as piling up of vagueness that is paradoxically distancing itself from specific meaning, the closer we get to our experiences. What she hopes to protect lies on the common experience of something we lost; she does not cling onto the limited language nor an image itself, which are granted as compensation. In spite of this skeptical but progressive attitude of an artist on the medium, it is surprising that these artworks somehow give the public a sense of relief as well as an aesthetic balance. Maybe Jang Bo-yun is inviting you to a new space that no one could ever experience.

Walk-In Welc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