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류하는 기억

손유정

장보윤은 사람들이 더 이상 살고 있지 않는 빈 집과 옷가지, 수저, 약통 등 그들이 버리고 간 물건들을 통해 그들(빈 공간과 물건의 주인)의 과거를 떠올린다. 누군가의 과거흔적을 담고 있는 공간과 사물들을 마주하고 그것을 통해 주인이 어떤 삶을 살았는지, 즉 어떤 과거의 경험들과 기억들을 갖고 있을지를 유추하고 상상해나가는 과정 속에서 장보윤은 자연스럽게 그녀의 개인적인 과거 경험들을 연상하며 일상의 삶에서 잠시 잊고 있었던 기억을 끄집어낸다.

현재는 과거를 토대로 형성되는 것이지만, 그 누구도 현재의 시점에서 완벽하게 과거의 어느 시간을 기억해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렷이 기억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기억 또한 현재의 내가 무의식적으로 가감하여 만들어낸, 가공물이 첨가된 조작된 기억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완벽한 기억이라는 것이 현재에는 존재할 수 없기에, 오히려 시간이 지날수록 기억하는 것들의 존재 자체가 점점 흐려지고 잊혀져 가기에 어쩌면 기억을 상기시켜줄 만한 그 무엇이 장보윤에게 필요했을지 모른다. 과거의 시간들을 되돌아볼 기회가 많지 않은 하루하루의 생활 속에서 우연히 빈 집과 그 안의 사물들, 그리고 새로운 공간이 곧 들어설 공사현장 주변에서 발견한 물건들을 만나게 되면서 장보윤의 작업은 시작된다.

/기억의 서: K의 슬라이드/는 2008년 11월 장보윤의 집에서 그리 멀지 않은 경기도 용인의 어느 집 공사현장의 흙더미 속에서 발견한 누군가가 버린 35mm 슬라이드 필름 뭉텅이에서 시작된 작업이다. 각기 구체적인 날짜와 장소명이 명시되어 있는 필름들은 1968년부터 1979년까지의 기간 동안 찍은 슬라이드 필름 약 400컷이 담긴 뭉치였다. 장보윤은 그것들을 하나하나 살펴보며 만나본 적도 없는, 구체적인 나이도 직업도 모르는(당시 나이로 40대라 추정되는) K라는 남자가 남긴 사진 속에서 그의 과거를 보게 되고 그 안에서 K와의 공감대를 발견한다. 사진들은 K가 거쳐간 장소들과 만난 사람들을 보여주는 일본 유람기록이었고, 장보윤은 그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사진이미지가 온전히 보여주지 못하는, 사진과 사진 사이사이에 숨겨져 있을 법한 무언의 이야기들을 만들어간다. K의 흔적을 쫓아가면서 그의 여행기를 장보윤 자신의 언어로 다시 써나가며 K가 잃어버린 기억들을 메꾸어 나가는 작업을 시작한다.

주운 슬라이드 필름을 스캔하고 이미지를 복원하는 과정에서 장보윤은 의도적으로 주인공 K와 등장하는 다른 인물들을 지우고 장소가 되는 배경만을 남겨둔다. 애초에 필름 여기저기에 곰팡이가 쓸고 부식이 되어 완전한 이미지 식별이 불가능했기에 슬라이드 위에 적혀있는 날짜와 장소에 대한 간략한 메모를 유일한 단서로 삼아 K가 거쳐갔던 그 장소들과 실재했던 시간에 주목한다. 등장인물들을 지움으로써 유추 가능한 정황 또는 인과적인 사건들의 단서가 모두 사라지고 어느 한적한 교외의 이미지들이 남게 되는데, 우선적으로 시선이 꽂히는 사진 속 인물들이 빠진 배경은 다소 생경하지만 흔한 교외풍경,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모습으로 다가온다. 그 곳은 이제 날짜와 장소를 지칭하는 몇 개의 단어로는 설명이 불가능한 추상화된 새로운 공간으로 변모한다.

다른 시대에 태어나 다른 장소에서 다른 삶을 산 K와 장보윤의 사이에는 공간과 시간이라는 손에 잡히지 않는 간극이 존재하기에, 그 사이의 시공감을 좁혀나가고 K와 장보윤 사이의 서정적 공감대를 보다 생생히 감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일련의 노력들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K가 사진에 담았던 그 순가에 실재했던 공간이 장보윤의 개입으로 재형성되어 이질적 모습으로 바뀌었듯, K가 당시 그 장소들을 여행하며 보고 듣고 느낀 감정의 레이어들은 장보윤의 손을 거치며 가공되어 장보윤의 감성으로 재탄생 한다.

.......................................
시나노 강 상류와 하류에는 많은 사람들이 이 강을 오갑니다. 강 남단과 북단으로 많은 이들이 생계를 꾸려나갑니다. 오늘 나는 시나노 강을 따라 무거운 노를 자기의 키보다 몇 배 커 보이는 노로 묵묵히 노를 져는 한 노인을 만났습니다. 그 노인의 주름은 나의 아버지와 많이 닮아 있군요. 시나노 강 상류 쪽에서 야채장사를 하는 노파, 그리고 사랑에 빠진 듯 행복해 보이는 여인. 그 여인은 내 고향에서 사랑에 미쳐 목을 맨 여자의 얼굴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내 옆에서 계속 걷는 당신의 얼굴 속에서 이곳 어린아이의 눈빛을 새겨 넣어 봅니다…….중략…….아마도 나는 새로이 만나는 이들에 내가 알던 이들 중에서 어느 한 사람의 가면을 씌우며 옛 사람들을 기억하고 형상을 새기게 될 것입니다. 노를 져는 노인의 주름과 나의 아버지의 주름, 끊임없이 깜박이는 눈 속에서 나는 다시 나의 아버지를 새깁니다.
시나노 강에서 1978년 7월 15일
......................................

K가 시나노 강가에서 느낀 서정들이 구체적이고 인간적인 모습으로 드러난 <기억의 서1(죽은 자들)>이라는 제목의 이 글은 부분적으로 글자가 흐릿하게 지워지고 검은 잉크가 번진 체 장보윤에게 팩스로 도착하였다. 누렇게 색 바랜 팩스서신은 40여 년의 시간이 지난 이제서야 장보윤의 손에 막 도달한 듯, 허구라는 탈을 쓴 실재의 모습으로 다가온다. K가 팩스로, 또는 엽서나 편지로 장보윤에게 보낸 텍스트들은 슬라이드 필름의 이미지들이 온전히 전달하지 못한 시공간의 간극들을 메워나가며 무심히 드러나는 비연속적 시각 이미지의 단편들을 섬세하게 보충한다.

K라는 타인의 경험과 기억들이 장보윤의 경험과 기억을 이끌어내는 단서가 되고, 서로를 알지 못하는 둘 사이의 접점을 발견해나가며 상대의 기억을 통해 다른 이의 기억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장보윤의 작업이다. 과거 어느 때의 기억을 잊어버리고 살아가더라도 그 기억 속의 이미지나 인물들의 존재 자체가 사라지지 않는 것처럼, 버려진 사진 속에 등장하는 강과 나무, 태양의 풍경들을 바라봄으로써 그 기억들은 끄집어내지고 존재감이 드러난다.

오래된 명화들을 복원하는 복원가의 섬세한 손길을 통해 최대한 그림이 그려졌을 당시의 색과 느낌이 살아나듯, 필름 속 이미지들 너머 타인의 기억들에 하나하나 숨을 불어 넣어 되살리려는 장보윤의 작업과정은 단지 누군가의 기억 끄집어내기가 아니라 장보윤 자신을 포함한 우리 개개인의 기억 되살리기이다. 한 무더기의 필름뭉치들이 비록 K에게는 의미를 상실한 버려진 쓰레기에 지나지 않을지라도, 그의 기억의 단상들은 장보윤에 의해 소멸, 생성, 조립이라는 단계를 거쳐 다시 태어나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그가 거쳐간 여행길에 동행하도록 우리를 초대한다.

Remaining Memories

Veronica Sohn
-Interalia Art Company Art Director

Bo-yun Jang brings up others’ past memories through abandoned objects such as abandoned houses, garments, a spoon, chopsticks, or a medicine case. For her, it is an attempt to recollect the reminiscences of the empty space and people who had once owned those materials. She carefully confronts such places and objects, and builds up imaginations of different experiences that people had with their possessions. The process consequently leads her to draw out the memories that had been forgotten for awhile by the owners of the past, and associate them with her own personal experiences.

Although our present time stands on the ground of the past, no one would be able to remember a specific moment in our life perfectly. Even the memories we take for granted may be creations of our mind: we unconsciously add and remove certain elements in order to keep on the life in the present. A complete memory cannot exist in our time we live now, and even subjects of it become more blurry and vague as time goes by. This oblivion led Jang to search for the forgotten. Midst of ordinary days without many opportunities to look back what we have done, she began her works from the moment when she accidently discovered an empty house around a construction place – where a new space would fill up soon.

/The Documents of Memories: K’s Slides/began when Jang found a deserted bundle of 35mm slide films in soil near her house in Yongin, Gyeonggi-do on a day of November, 2008. The films consisted of 400 slides made by a man named K who was in his forties when he took the pictures, and each slides were marked with specific places and dates ranging from 1968 to 1979: they were documents of K’s excursion to Japan which shows the places and people K had encountered during his trip. In the pictures that K left, Jang was able to see the past of a man she had not even met before. She formed a kind of sympathy with him through his pictures. Following his footsteps, she tried to build up silent stories that might be hidden in between each slides, and formed a kind of sympathy between them. By rewriting his travel diary with her own words Jang began her work to fill up the memories that K had lost.

While scanning and restoring the images she had found, Jang intentionally eliminated the protagonist K and the others to leave only background of the picture. Since the films were corroded and damaged by molds from the beginning, it was impossible to identify the complete image. The only means she could use to continue the work was the notes that K had left on each film which allowed Jang to focus on the places K had been and the times he had existed. The removal of people in the pictures resulted in revelation of calm suburban images. Backgrounds without original characters at first seem somewhat crude, yet they come into our sight in a very much neutral way. They are now changed into a new abstract space which cannot be explained with a few indications of dates and places.

An intangible gap exists between Jang and K because of the different era and space they live in. Jang’s works reveal her constant effort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m and create their emotional empathy with vivid and sensuous expressions. As the spaces K had experienced are visually transformed by Jang’s intervention, the layers of K’s sentiments are reconstructed in the artist’s hand and revive with her sensibility.
.....................................
Many people come and go around the upper and lower stream of river Shinano. A lot of them make their living on the north and south of it. Today, I met an old man quietly rowing along Shinano with an oar twice as big as him. His wrinkles resemble my father pretty much. I saw an old woman selling vegetables on the upper stream, and a happy lady who seems to be in love – she has the face of a woman I knew from my hometown who, at last, killed herself because of her love. And as I walk with you, I’m engraving the glitter of a child’s eye I saw here inside your face. […] I will continue to give a mask of people already know to people I newly meet, in order to remember them and take the olds to my heart. I, again, engrave my father inside the wrinkles of the old rowing man and those of my father, and unceasingly flickering eyes.

On Shinano, July 5th, 1968
......................................

Jang received a fax titled /The Document of Memories 1 (Dead Ones)/ in a rather blurry way. The words were partially erased and black ink was spread on the paper. Yet the essay shows the delineation of particular and humanistic feelings which K experienced on Shinano river. The faded document appears as an actual existence in fiction’s clothing as if it has barely reached the artist after 40 years of a long period. The fax, postcard or letters that K sent Jang fill up the discord of time space which the slides could not convey wholly, and delicately replenish the inconsequent fragments of visual images.

The artist’s works represent the process of forming one’s memory through the other’s: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the other, K, play as a cues in bringing out Jang’s experiences and memories. They search for a point of contact between them while not knowing each other. Just as images or existences of people themselves in a memory do not fade away even though we forget the moment, the memories their existences when we stare at the sceneries of a river, trees, and sun appeared in those abandoned pictures.

The process in which Jang works is not just drawing out one’s hidden memory but waking our individual memories, as if sentiments and colors of the time revive when restoring an old masterpiece by a restorer’s delicate touch. Although the bundle of films may have meant only wastes that should be thrown away, through Jang’s fine works, the pieces of K’s memories are born again by going through the destruction, creation, and construction that the artist intended. Her works now invite us to K’s journey so that all can share his past exper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