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번째 개인전 /Un-Vanished Memory/와 두 번째 개인전/기억의 서:K의 슬라이드/는 '한 개인' 에게 속했던 타인의 파편적인 흔적들과 그들이 버린 물건들을 통해 무의식적이고 형언할 수 없는 과거의 기억들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있다. 그 파편들과 버려진 물건들은 무용(無用)의 사물이다. 하지만 나는 이것들을 대면하고 바라봄으로써 작업을 시작한다. 나에게 이러한 오브제들은 유용의 것들로 바뀌게 된다. 그 과정에서 내가 취하는 태도는 /Un-Vanished Memory/에서는 지극히 중립적이며 관찰자적이었다. 하지만 나의 관찰자적 태도는 두 번째 개인전/기억의 서:K의 슬라이드2009/에서 능동적으로 바뀐다. 이 작업은 내가 빈집들에서 발견한 1968년대 일본을 여행한 한 남자의 버려진 슬라이드들을 주우면서 시작된다. 나는 '그 남자'를 K라고 명명하고 슬라이드에 각각 적혀진 장소와 등장인물들에 대한 메모만을 토대로 K가 40년전 여행한 곳을 찾아간다. K가 경험한 일본의 니이가타(Niigata)와 오사카(Osaka)를 내 자신이 40년 후에 같은 장소를 찾아가 8박9일 동안 여행하며 K와 다른 시간의 흐름과 가상의 기억들을 담아내고 있다. (사흘 날, 사흘 밤-실체 봉투). 그 과정에서 나는 내 스스로 K가 되기로 하고 나에게 편지를 부치는 것을 설정함으로써 그곳에서 경험한 것들을 상상하고 이야기들을 만들어 K의 입장에서 서술해나간다.

....................................
시나노 강 상류와 하류에는 많은 사람들이 이 강을 오갑니다. 강 남단과 북단으로 많은 이들이 생계를 꾸려나갑니다. 오늘 나는 시나노 강을 따라 무거운 노를 자기의 키보다 몇 배 커 보이는 노로 묵묵히 노를 져는 한 노인을 만났습니다. 그 노인의 주름은 나의 아버지와 많이 닮아 있군요. 시나노 강 상류 쪽에서 야채장사를 하는 노파, 그리고 사랑에 빠진 듯 행복해 보이는 여인. 그 여인은 내 고향에서 사랑에 미쳐 목을 맨 여자의 얼굴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내 옆에서 계속 걷는 당신의 얼굴 속에서 이곳 어린아이의 눈빛을 새겨 넣어 봅니다…….중략…….아마도 나는 새로이 만나는 이들에 내가 알던 이들 중에서 어느 한 사람의 가면을 씌우며 옛 사람들을 기억하고 형상을 새기게 될 것입니다. 노를 져는 노인의 주름과 나의 아버지의 주름, 끊임없이 깜박이는 눈 속에서 나는 다시 나의 아버지를 새깁니다.

시나노 강에서 1978년 7월 15일1968
......................................

나는 버려진 슬라이드에 적혀져 있는 니이가타와 오사카를 K가 40년 전에 같은 날짜에 같은 장소를 여행한다. 그곳에서의 8박9일 여행 중 나는 한국으로 마치 K가 한국으로 보낸 것들인 것 마냥 ‘서신’-(K로부터의 서신-팩스)을 보낸다. 이 서신들의 내용은 K의 사진 속에 등장하는 사람들이다. 나는 K의 잃어버린 기억 속에 등장하는 이러한 익명의 사람들에게 ‘죽은 자들’이란 이름을 짓는다. ‘죽은 자들’은 K가 과거에 사진을 찍은 인물들이고 K가 아는 누군가일 것이다. 나는 K가 찍은 인물사진들을 사진의 기록물, 재현의 것들로 여기지 않고 이미지로 형상화한다. 그 과정 중에 그 인물들은 누군가의 초상 사진이 아닌 이미지로서 오브제로서 작용하게 되고 그들은 ‘죽은 자들’이 되는 것이다. K의 기억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장소들은 나의 개입으로 인하여 영원히 채워지지 않는 기억들의 시간적이고 공간적인 간극이 심화되어간다. 이러한 타인의 과거 기억은 나의 ‘개입’으로 인하여 과거의 온전한 것들이 아닌 것들로 변형된다.

나는 타인의 기억 내지 흔적들을 ‘온전한 것들’ 혹은 ‘구성해야 할 대상’으로 여긴다. 그 흔적을 나의 적당한 거리 두기 내지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나 자신의 기억들을 더함으로써 완성된 것들로 구조화한다. (K로부터 서신- 편지, 엽서)은 8박 9일간 K가 경험한 여행기를 담은 내용들이다. 나는 이것들을 K의 소지품들처럼 보이기 위해 낡고 옛날 것들처럼 만든다. -설치작업은 내가 복원한 K의 기억들-시간과 공간을 거스르는 현존의 이미지들과는 반대되는 구체적이고 기억되는 것들을 보여준다. 과거 K의 삶을 에워싸고 있었을 법한 메모들, 물건들을 암시적으로 배치하는 것은 K에게 기억되는 모든 것들을 대변한다.

하지만 K가 기록했던 날짜와 구체적 사실들은 나로 인하여 과거의 온전한 기억을 불러올 수 있는 단서들이 아니라 새로운 기억을 만들어내도록 한다. 나의 작업은 우리에게 잊혀져 가고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만들고자 하며 우리의 일상 속 하찮은 것들에 주목하게 만드는데 나의 작업적 의의가 있다. 나는 기억과 기억 밖의 것들 모두 우리가 존재하는 근거를 대변하는 것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기억과 기억 밖의 것들의 경계는 매우 모호하다. 인간이 만들어내는 기억들은 우리가 기억하는 과거의 것들의 모호함과 환영 속에서 섞이면서 기억과 망각 사이에 존재한다. 나는 구체적인 사건, 혹은 과거라는 것이 얼마나 추상적이고 모호한 것들인지를 말하고자 한다. 따라서 내가 복원하는 이미지들과 텍스트들은 내가 바라는 과거의 환영임과 동시에 타인의 기억들을 조합해 만들어 낸 결과물이며 편집된 세계라고 할 수 있다

My first solo exhibition /Un-Vanished Memory/ and the second /Preface of Memory: K’s Slides/ focused on unconscious and inexpressible things already forgotten. I used the fragments of that ‘someone’s past and the abandoned objects that once belonged to him. They are now useless, yet I started my work by directly facing them. As I stared, the objects turn into useful substances. I took an extremely neutral attitude in the first solo exhibition. However, my position drastically changed in the next one, /Preface of Memory: K’s Slides/: I became an active participant. Here, the work began with my discovery of old slides in empty houses. The films belonged to a man who traveled around Japan in 1968. I named the man ‘K’, and planned a trip myself to the places K had journeyed 40 years ago. I referred solely to the notes written on each slides: they were about the places and people taken in those pictures. I traveled to Niigata and Osaka in Japan, the same places K had been, for eight nights and nine days, and captured the different memories and flow of time between the two of us -- . I attempted to describe the experiences in Niigata and Osaka in K’s perspective by setting myself up as ‘K’ and writing letters to myself.

....................................
Many people come and go around the upper and lower stream of river Shinano. A lot of them make their living on the north and south of it. Today, I met an old man quietly rowing along Shinano with an oar twice as big as him. His wrinkles resemble my father pretty much. I saw an old woman selling vegetables on the upper stream, and a happy lady who seems to be in love – she has the face of a woman I knew from my hometown who, at last, killed herself because of her love. And as I walk with you, I’m engraving the glitter of a child’s eye I saw here inside your face. […] I will continue to give a mask of people already know to people I newly meet, in order to remember them and take the olds to my heart. I, again, engrave my father inside the wrinkles of the old rowing man and those of my father, and unceasingly flickering eyes.
On Shinano, July 5th, 1968
.....................................

During the eight nights and nine days of journey to Japan, I sent letters -- (Letter from K, fax)-- to Korea as if K had done it. The letters were about the people in K’s pictures. I named these anonymous people ‘the dead ones’. ‘The dead ones’ are the people whom K had taken pictures of, and they are the ones K had actually known. I turned the portraits by K into images, not treating them as mere documents or representations. In the process, the people in K’s pictures become unreal and at last act as objects – ‘the dead ones’. Unlike in the past: the memories of people and places once possessed by K are now converted into something not intact. The spatial and temporal gap between K’s experiences and my works is deepened by my intervention which it cannot be filled anymore.

I consider other people’s memories or traces as things that are ‘intact’ or ‘need to be reconstructed’. I structure them either by one-step-away approach or active participation, and add memories of my own so that they can be completed. (Letter from K, letters and postcards> is a story about K’s eight nights and nine days of journey. I made the work look old and worn-out so that they could be seemed as K’s actual possessions. (K’s room, installation) is a restoration of his memories. It is wholly different from present images and goes against the time and space. The suggestive arrangement of memos and other materials in this work which might have once surrounded K represent every remembrance of him.

The dates and specific facts that K had recorded on his slides did not act as a key to recall the complete memories of the past. Instead they allowed me to create new ones. My works aim for the reconsideration of disappearing things that are falling into oblivion, and emphasize the value of trivial things in our everyday life. I believe that the memories and the others outside of them all speak for the reason of our existence. Yet, the boundary between the memories and the outside is very much ambiguous. The memories made by humans lie in between reminiscence and oblivion. They are blended inside the vagueness and illusions of the past. I wish to talk about how ambiguous and abstract a specific event or the past is. The images and texts I reconstruct are my desired illusions of the past as well as an outcome of structuring other’s memories, and a revised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