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서운 고뇌’를 야기하는 ‘빈집’의 사물
-이대범 (미술평론가)

너는 말없이, 은밀하게 온다
와서는 분노와 행복을 일깨우고
이 무서운 고뇌를 불러일으킨다.
만지는 대로 불을 붙이고
사물마다 어두운 목마름을 심는다.
- 옥타비오 빠스, <시> 중에서

장보윤은 누군가 살았을, 그러나 지금은 아무도 살지 않는 어수선하고 먼지 가득한 ‘빈집’에 무단으로 ‘침입’한다. 누구도 그를 그 공간에 초대하지 않았음에도 그는 그곳에 침입하여 지속적으로 기록한다. 한마디로 그는 ‘불청객 혹은 침입자’이다. 그러나 생각해보면, 그곳은 ‘빈집’이기에 그를 초대한 주체가 없으며, 당연지사 그를 거부할 주체도 없다. 그럼에도 장보윤의 행위를 ‘침입’으로 명명하는 것은 거주자는 부재할지 몰라도 거주자의 흔적이 곳곳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외부 침입을 막아주었던 문과 유리창, 지긋지긋한 혹은 행복한 일상을 함께했던 침대, 옷, 포크, 젓가락, 라디오, 그리고 삶의 깊은 애환을 묵묵히 들어주었던 누렇게 바랜 벽지 등 거주자가 떠난 곳에 남겨진 사물은 비록 지금은 버려진 쓰레기와 다를 바 없지만, 한 때는 거주자의 욕망과 필요를 채워주었던 삶의 적출물이며 그들이 ‘빈집’을 가득 메우고 있다. 그렇다면 장보윤을 어떤 공간에 지속적으로 ‘침입’하게 한 동력은 ‘빈집’ 곳곳에 무의미하게 놓여있는 것처럼 보이는 사물이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왜 장보윤은 무의미한 사물과 마주하면서 그것을 의미의 존재로 치환시키는가이다.

실상, ‘침입자’에게 이전 거주자가 왜 그곳을 떠났으며, 몇몇의 사물을 왜 그곳에 버렸는지- 혹은 그냥 두고 갔는지 - 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빈집’을 그러한 사물이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선 장보윤이 마주한 사물을 살펴보자. 깨진 유리창, 침대와 헤진 바지, 바닥에 놓인 다수의 약병, 짝을 잃고 포크와 어울리고 있는 젓가락 한 짝, 책장 한 켠에 모아 놓은 폐지, 길을 잃은 듯 엉뚱한 곳에 놓인 육중한 라디오, 먹다 남은 물을 간직하고 있는 물통, 바닥에 떨어져 있는 목걸이, 쓰러진 약통과 흩어진 약 등이다. 이들의 모습은 거주자와 함께 했을 때보다 온전치 못하다. 먼지가 덕지덕지 묻어 있거나, 짝을 잃었거나, 자기 자리를 찾지 못한다. 한마디로 그들은 무용(無用)의 사물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이 사물이 집에 거주하게 된 계기는 각기 거주자의 필요와 욕망이 사물의 쓰임과 맞았기 때문이며, 이러한 관계는 거주자가 떠나기 전까지 유지되었다는 것이다. 거주자가 떠나면서 무용의 사물이 되었지만, 그곳에는 여전히 거주자의 삶의 체취가 묻어있다면 이 사물은 무용의 사물일까? 아니면 유용의 사물일까? 이 질문에 장보윤의 답을 추측해보면, 무용의 사물이지만, 사물과 ‘마주하여 바라봄’으로 유용의 사물이 된다고 할 것이다.

단일 오브제에 집중하여 화면을 구성하고 있는 장보윤의 작업에서 유독 많은 오브제가 등장하는 사진 한 장이 있다. 펼쳐져 있는 두 개의 잡지가 있으며, 방석이 산만하게 놓여 있으며, 좌측에는 선풍기가 있으며, 선풍기 뒤편에는 각양각색의 옷과 옷걸이가 쌓여 있으며, 바닥에는 액자와 상품 케이스, 종이, 비닐이 흩어져 있다. 이렇듯 복잡한 오브제가 섞여 다른 작업과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이 사진은 일견, 전체 작업 맥락에서 벗어나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작업은 다른 작업들과 대구를 이루며 전체 작업 맥락을 완성하는 주요한 작업이다. 하나의 사물이 빛을 독점하고 주변을 어둡게 처리해 - 배경이 빛을 받는다 해도 중심 사물을 제외한 나머지의 포커스 맞지 않는다 - 사물을 비현실적 맥락으로 이끌었던 여타 작업과 다르게 이 작업은 빛과 어둠을 이용한 극적 효과를 배제했다. 오히려 화면을 전체적으로 어둡게 구성하여 음울함을 극대화 했다. 빛과 어둠이 고르게 화면을 장악하면서 사물 역시 쓰레기처럼 곳곳에 분산되어 있다. 이것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빈집’의 형상이며, 장보윤이 마주한 ‘빈집’의 첫 모습이다. 생각해보면, ‘빈집’은 거주의 입장에서이다. 사물의 입장에서는 그들이 여전히 살고 있는 ‘집’이다. 그러나 이 사진은 거주자 입장에서 거주자가 남기고 간 것의 집합이라는 전체적 형상은 극대화 했지만, 거주자가 떠난 이후 그와 함께 했던 기억을 간직하고 현재를 살아가는 사물의 이야기는 다소 배제되어 있다. 즉, 이 작업은 일견 사물을 통해 ‘거주자’의 추억을 재생한다. 그러나 장보윤은 이에 멈추지 않고 이 작업에 등장한 사물 - 실제로 그 사물이 그대로 등장하지 않더라도 - 을 다른 작업에 단일 오브제로 배치하여 사물 하나하나와 직접적으로 마주한다.

장보윤의 대부분의 작업은 단일 사물을 화면 중심에 배치하여 강한 빛을 받게 하고, 그 주변을 어둠으로 구획한다. 여기서 어둠은 화면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이면서, 보여지는 현상의 세계와 그를 분리하는 일종의 거리 두기의 한 방편이다. 이러한 태도는 적극적인 개입도 또한 방관도 아닌 중립적이며 객관적인 관찰자 입장의 구도이다. 이러한 빛과 어둠의 대비를 통한 구도의 연원은 바로크시대 카라바지오(Caravaggio)에서 찾을 수 있다. 그는 이러한 구도를 통해 인간 내면의 깊이 있는 성찰을 이끌어 냈다.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장보윤은 사물과 카메라를 마주하게 하고 사물에 내재된 서정성을 포착한다. 빛과 어둠의 극한 대비로 사물은 비현실적 존재가 되는데, 이로 말미암아 ‘무용의 사물’이라는 의미에서 탈각되고 - 동시에 거주자와 맺었던 의미에서도 탈각되며 - 장보윤에 의해 ‘유용의 사물’로서의 새로운 생명력을 부여 받는다.

이제 앞서 제기한 “무의미한 사물과 마주하면서 그것을 의미의 존재로 치환시키는가?”에 대한 답을 구할 수 있다. 실상 작가와 아무런 관계가 없었기에 빈집의 사물은 ‘말없이 은밀하게’ 작가에게 오지만, 작가와 사물이 마주한 순간 그들은 새로운 ‘경험’을 하고 새로운 ‘기억’을 만든다. 그렇다고 사물에 내재된 거주자와의 기억이 소멸하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사물의 배면에 자리해 ‘분노’일 수도 혹은 ‘행복’일 수도 있는 작가의 감정을 끌어낸다. 이러한 관계는 ‘사물→작가’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역으로 ‘작가→사물’, 즉 작가의 감정이 사물에 전이되기도 한다. 사물과 작가의 이러한 긴장관계는 작가의 삶을 되돌아 볼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지금까지 생각하지 못했던 ‘무서운 고뇌’를 야기한다. 자신의 뒤를 바라 볼 찰나의 시간조차 주워지지 않는 현대의 복잡하고 빠른 변화의 시기에 장보윤은 철저하게 과거의 흔적을 내포한 사물을 마주하여 거주자의 흔적이 아닌 자기 자신을 돌아보고 있는 것이다. 거주자에 의해 버려진 무용의 사물은 장보윤의 언어로 재구성된다.

Objects of the "Empty House" that Cause "Frightening Anguish"
Lee, Dae-Beom (Art Critic)

You come silently, secretly
You come to awaken anger and happiness
And then cause this frightening anguish.
Setting fire to what you touch
Planting dark thirst in every object.
- From Poem by Octavio Paz

Jang, Bo-yun "trespasses" on "empty houses," where someone once lived, but now there is no one and only the dusty ruins remain. Though no one has ever invited her into those spaces, she enters and documents them continuously. In short, she is an "uninvited guest" or "trespasser." But if we think about it, since it is an empty house, there is no subject to invited her, and of course no subject to refuse either. Nevertheless, the reason I call Jang's action "trespassing" is because though the residents are absent, their trances still exist here and there. The objects left behind, such as the doors and windows, which protected the inhabitants from intrusion, the bed, clothes, forks, chopsticks, radio, which accompanied the tiresome or happy daily life, and the discolored yellowish wall paper, which silently listened to the joys and sorrows of the owners are now just trash. Once extractions from life that filled the desires and needs of the residents, they now fill the "empty house." The motivation that made Jang, Bo-yun continuously “trespass" on a certain space is the objects that seem to be placed meaninglessly throughout the empty house. And the important thing is why Jang, Bo-yun encounters these meaningless objects and substitutes them for beings of significance.

In fact, it is not important to the "intruder" why the previous residents left or why they discarded―or just left―several articles there. What is important is that such objects have taken over the empty house. First let us look at the objects encountered by the artist. There are broken windows, a bed and worn out trousers, many medicine bottles on the floor, a chopstick that lost its twin and is hanging around with a fork, old papers stacked in one side of a bookcase, a misplaced heavy radio that looks like it is lost, a water bottle containing someone's leftover drinking water, a necklace on the floor, knocked over medicine bottle and scattered pills, etc. There appearance is flawed compared to what they must have looked like with their owners. They are covered in dust, lost their partners, or unable to find their place. In short they are useless objects. But it is clear that the objects came to dwell in the house because they met the needs and desires of the residents, and such relationships were maintained until the residents left. Though they became useless with the departure of their owner, if the scent of the residents are still there, are the objects useless or still useful? If we try to guess what Jang, Bo-yun would say to this question, she would say they are useless objects, but become useful as they are "faced and looked at."

Among the works of Jang, Bo-yun, which mainly focus on single objects to compose the pictures, there is one photograph in which many objects appear at once, unlike the others. In the picture, there are two open magazines, cushions scattered about, an electric fan on the left, various sorts of clothes and hangers stacked up behind the fan, and picture frames, product boxes, papers and pieces of plastic scattered on the floor. In a glance, this photograph with a mixture of complex objects, which shows a drastic difference from the other works, could be seen as to deviate from the overall context of the work. But this work is an important piece that completes the overall context while forming an antithesis with the other images. Unlike the other works, in which one object dominates the light and the surrounding areas are darkened―even if the background is lit, everything except the subject is taken out of focus―to lead the objects into an unrealistic context, this work eliminates dramatic effect using the light and darkness. Rather, it maximizes the gloominess of the image by making the picture dark overall. The light and darkness takes over the picture-plane evenly, while the objects are scattered here and there like trash. This is the image of the "empty house" we generally picture in our minds, and the first-hand image of the "empty house" encountered by the artist. Actually, the term "empty house" is from the standpoint of the resident. From the standpoint of the objects, it is just a "house" in which they still live. The photograph maximizes the overall images of the collection of things left behind from the resident's point of view, but rather excludes the stories about the objects, which contain the memories of the previous owner and continue to live today. In other words, this work seems to play back the memories of the "resident" through the objects. But Jang Boyun does not stop here. She arranges the objects in the photograph―even if they do not appear in the same exact way―in different works as single objects to face each of them directly.

Most of Jang's works place single objects in the center of the picture where they receive strong lighting, and demarcate the surrounding areas with darkness. Here darkness is a device to build composition, but also a means of distancing, to divide it from phenomenal world. Such attitude is not active intervention or indifference, but is the standpoint of a neutral and objective observer. Such composition through the contrast of light and darkness originates from Caravaggio of the Baroque era. Through such compositions, he brought out deep introspection of humans' inner selves. In a similar context, Jang, Bo-yun makes the object and camera face each other to capture the lyricism immanent in the objects. With the extreme contrast of light and darkness the objects become unrealistic beings. Due to this they free themselves from the meaning of "useless object"―whill freeing themselves from the meaning they established with their owners as well―to be given new vitality as "objects of use" by artist Jang, Bo-yun.

Now we can figure out the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above: "Why does she encounter these meaningless objects and substitute them for beings of significance?" Because in fact the objects in the empty house have no relation to the artist, they approach the artist "silently and secretly," but the moment they encounter they have new "experiences" and create new "memories.' That does not mean the memories of the previous residents immanent in the objects vanish. They still remain behind the objects and evoke emotions from the artist which could be either "anger" or "happiness." Such relationship does not stop at "object→artist" but could also go the other way from "artist→object," as the artist's emotions are transferred to the objects. This relation of tension between the objects and the artist become a momentum for the artist to look back on her life and cause a "frightening anguish," which had been unforseen. In a time of complex and rapid change Jang Boyun strictly faces objects with traces of the past, thus reflecting not on the traces of the previous residents, but on herself. The useless objects abandoned by the former residents are recomposed through the language of Jang , Bo-yun.